비밀글

※ 비밀번호는 게시글 확인/삭제시 필요합니다.

- -

문자알림받기

※ 핸드폰번호를 남겨주시면 답변 등록 시 알림을 받으실수 있습니다.

※ 이미지 파일만 업로드 가능합니다.
※ 이미지 파일은 각 10M 이하 크기만 업로드 가능합니다.
※ 이미지 파일은 가로 640px로 리사이즈 됩니다.
  • 1.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동의

  • 1)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 상담문의, 민원, 고충처리
  • 2)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필수 : 이름
    - 선택 : 핸드폰번호, 이메일
  • 3)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기간 : 제공받는 목적이 달성 시 까지 보유하며, 삭제요청 사이트 페쇄 의 경우 즉시 파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 보유기간 : 1년 (이용목적 달성시 1년 이후 파기됩니다.)
  • 4)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다는 사실 및 동의 거부에 따른 불이익: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하지 않으실 수 있습니다. 다만. 게시판 사용에 제한이 됩니다.

  • 2. 개인정보 제공받는자 : 변내과의원
  • 3. 개인정보 위탁자: ㈜인터랙티비
  • [개인정보 관리책임자]
  • 성 명 : 안구현 상무
  • 소 속 : 경영관리실
  • 전 화 : 02-501-6474(103)
  • 메 일 : khahn@interactivy.com
  • [개인정보 관리담당자]
  • 성 명 : 김종근 차장
  • 소 속 : 시스템관리그룹
  • 전 화 : 02-501-6474(161)
  • 메 일 : jgkim@interactivy.com
개인정보 수집/이용/위탁 동의

심장질환

변내과의원 주력과목 심장질환

심혈관계 질환은 심장과 주요 동맥에 발생하는 질환을 말합니다.
심장병은 태어날 때부터 있는 선천성 심장병과 살아가면서 발생하는 후천성 심장병이 있으며, 심장의 구조를 심장 근육, 심장 혈관, 판막, 심장 전기 신호를 담당하는 전도계로 나눌 수 있듯이 심장병도 각 부위에 생기는 질환들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주요 혈관계 질환은 대동맥, 허파동맥, 목동맥, 뇌혈관, 신장동맥, 하지 동맥(온엉덩(장골)동맥, 넙다리(대퇴)동맥 등) 등의 주요 동맥이 막히거나 늘어나거나 터지는 출혈이 일어나는 질환입니다.
주된 원인으로 (죽상)동맥경화증, 고혈압, 퇴행성 변화, 유전 등을 들 수 있습니다.

2009년 통계청에서 발표한 사망원인 통계를 보면, 고혈압성 질환, 허혈성 심장 질환, 뇌혈관 질환을 포함한 순환기계통 질환은 우리나라 사망원인의 2위로 악성 종양 다음으로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남성은 55세 이상, 여성은 65세 이상에서 순환기계통 질환의 사망률이 크게 증가합니다. 심혈관계 질환, 특히 죽상동맥경화와 관련된 위험인자는 연령(중년 이상), 성별(남성),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흡연, 운동 부족과 비만입니다.
심혈관계 질환의 주요 질병으로 고혈압, 허혈성 심장 질환, 관상동맥질환, 협심증, 심근경색증, 죽상경화증(동맥경화증), 뇌혈관 질환, 뇌졸중, 부정맥이 있습니다.

고혈압

변내과의원 주력과목 고혈압

+정의
심장이 몸에 산소와 영양소 공급을 위해 수축, 이완을 반복하면서 혈액을 인체 모든 곳에 보내는데 심장이 수축하여 혈액을 혈관으로 내보낼 때 받는 가장 높은 압력을 수축기 혈압이라고 하며, 심장이 수축 끝에 이완 되면서 혈액을 받아들일 때 받는 가장 낮은 압력을 이완기 혈압이라고 합니다. 보통 정상 혈압은 수축기 120 mmHg, 이완기 80 mmHg이며, 수축기혈압이 140 mmHg 이상, 이완기 혈압이 90 mmHg 이상인 경우에 고혈압이라고 합니다.


동맥경화

+정의
동맥경화는 혈관 내벽이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탄력이 줄어들고 딱딱해지는 상태를 말하고 주로 동맥 혈관에서 발생됩니다. 혈관의 손상된 부위에 콜레스테롤 등의 이물질이 쌓이게 되면 죽종(atheroma)이라는 것이 형성되면서, 겉이 딱지로 덮이는 죽종반이라는 것을 형성하게 됩니다. 
이 죽종반이 어떤 요인에 의해 떨어지게 되면 혈액과 함께 엉기며 혈전을 형성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부정맥

+정의
심장의 혈액 박출 활동은 심장의 수축과 확장(이완)의 반복으로 이루어집니다. 심장의 수축은 저절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고 심장근육(심근) 세포에 전기 자극이 가해져야 일어나게 됩니다. 심장에는 이러한 전기 자극을 만들어내는 자극 생성 조직과 이를 심근세포에 전달해주는 자극 전도 조직이 있습니다. 심장의 자극 생성 조직에서 규칙적으로 1분에 60~100회의 전기 자극을 만들고 이 자극이 심근세포에 정상적으로 전달되면 심장의 수축과 확장이 반복되면서 신체 각 조직으로 필요한 혈액이 충분히 공급되게 됩니다. 만약 심장에서 전기 자극이 잘 만들어지지 못하거나 자극의 전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규칙적인 수축이 계속되지 못하여 심장 박동이 비정상적으로 빨라지거나 늦어지거나 혹은 불규칙해지는데, 이를 부정맥이라고 합니다.


협심증

+정의
심장은 크게 3개의 심장혈관(관상동맥; coronary artery)에 의해 산소와 영양분을 받고 활동합니다. 동맥경화증, 혈전증, 혈관의 수축 및 연축(spasm) 등의 원인에 의해 3개의 관상동맥 중 어느 한 곳에서라도 급성이나 만성으로 협착(수축 등의 원인에 의해 혈관 등의 통로의 지름이 감소하는 것)이 일어나는 경우, 심장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혈류 공급이 감소하면서 산소 및 영양 공급이 급격하게 줄어들어 심장근육이 이차적으로 허혈 상태에 빠지게 되는데, 이러한 상황을 협심증이라고 합니다.


심부전

+정의
각종 심장질환으로 인해 심장의 펌프기능이 떨어지면 심장에 들어오는 혈액을 퍼낼 수 없으므로 심장이 커지고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못해 체액이 연약한 폐조직으로 스며들게 되어 폐부종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를 심부전이라고 하며, 심부전 상태가 되면 움직일 때 숨찬 증상이 가장 먼저 나타납니다.

맨위로이동